본문 바로가기
독일어 점자(deutschen Brailleschrift)

디아크리틱 기호 " ̯ " 기본 개념, 기능, 사용 예시, 비슷한 IPA 기호들과의 차이점, 유니코드, 국제음성기호 점자 기호

by 점자 배우는 사람 2025. 3. 18.
반응형

디아크리틱 기호 " ̯ " 기본 개념, 기능, 사용 예시, 비슷한 IPA 기호들과의 차이점, 유니코드, 국제음성기호 점자 기호

 

디아크리틱 기호  "  ̯  " 란?

📌  IPA(국제 음성 기호,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에서 사용되는 "비음절적 (non-syllabic) 표시 기호" 입니다. 이는 해당 음소가 음절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기호는 조합 문자이므로 단독으로 입력하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항상 다른 문자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독일어 hier 발음을 통해 디아크리틱 기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맨 마지막 발음 기호인 반전된 소문자 a 아래에 디아크리틱 기호가 있음

 

독일어 "hier" [hiɐ̯] 발음 설명

  • "hier" 는 독일어로 "여기" 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 [hiɐ̯] 발음에서:
    • [h] → 영어의 "h" 와 비슷한 소리.
    • [i] → 긴 "이" 소리.
    • [ɐ̯] → [i] 에서 이어지는 짧은 반모음, 영어의 "here" [hɪə] 와 유사한 느낌.
  • 맨 마지막에 나오는 발음 기호 "ɐ̯"  중설 근저 모음(ɐ) + 반모음 표시(̯) 로, 이중모음의 일부로 발음되는 짧은 "아" 소리를 나타냅니다.
  • 독일어에서 흔히 쓰이는 발음으로, "hier" 의 끝 부분을 자연스럽게 마무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ɐ̯" 발음 기호 분석

    • "ɐ": 이 기호는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반전된 소문자 a" (turned a) 로, "중설 근저 모음" (near-open central vowel) 을 나타냅니다.
      • 독일어에서 흔히 사용되며, 영어의 "but" [bʌt] 에서 "ʌ" 와 비슷하지만 더 중립적인 소리입니다.
    • "  ̯  " (디아크리틱 기호):
    • 이 작은 부호(아래에 있는 곡선)는 이 소리가 이중모음(diphthong)의 두 번째 요소임을 나타냅니다.
    • 즉, 앞에 오는 모음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반모음(glide)으로 발음된다는 의미입니다.

  • 디아크리틱 기호(diacritic for non-syllabicity, 비음절적 기호)  모음이나 접근음(glide, 반자음)이 독립적인 음절이 되지 않고 다른 모음과 함께 이중모음(diphthong)이나 삼중모음(triphthong)을 형성할 때 사용됩니다.
  • 이 기호는 기본 음소의 아래에 붙여서 표기합니다. 예를 들면:
    • [aɪ̯] → "아이" 소리를 나타내는 이중모음 (예: 영어 "eye" [aɪ])
    • [uɐ̯] → "우아" 소리를 나타내는 이중모음 (예: 독일어 "nur" [nuɐ̯])
    • [hiɐ̯] → 독일어 "hier" 의 발음

 

디아크리틱 기호  "  ̯  "  기호의 기능

 이중모음(diphthongs)에서 사용됨

  • 한 음절 내에서 두 개의 모음이 활음(滑音, glide, 반자음)처럼 발음될 때, 두 번째 모음이 비음절적이라면 "  ̯  "를 붙여 표시함.
  • 예: [oɪ̯] ("오이" 소리, 영어 "boy" [bɔɪ̯])

 삼중모음(triphthongs)에서 사용됨

  • 세 개의 모음이 하나의 음절 내에서 결합될 때도 사용됨.
  • 예: [aɪ̯ə] ("아이어" 소리, 예: 영어 "fire" [faɪ̯ə])

 반자음(glides) 표기에 사용됨

  • 접근음(approximant, glide)처럼 발음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음.
  • 예: [w̯] (반모음 w 가 음절을 형성하지 않을 때)

 

디아크리틱 기호 "  ̯  "가 사용되는 주요 언어 예시

  • 독일어:
    • "hier" [hiɐ̯] (히어)
    • "nur" [nuɐ̯] (누어)
  • 영어:
    • "boy" [bɔɪ̯]
    • "fire" [faɪ̯ə]
  • 스페인어:
    • "huevo" [ˈwe̯βo] ("웨보", 달걀)
  • 프랑스어:
    • "pied" [pje̯] ("피에", 발)

 

반응형

 

디아크리틱 기호"  ̯  "와 비슷한 IPA 기호들과의 차이점 

기호 의미 예시

"  ̯  " (비음절적 표시)

해당 음소가 독립적인 음절을 이루지 않음 [aɪ̯] (아이), [hiɐ̯] (히어)
"ˌ" (이차 강세 표시) 해당 음절에 약한 강세 있음 [ˌɛkspləˈneɪʃən] ("explanation")
"ʲ" (구개음화 표시) 자음이 앞쪽에서 발음됨 (palatalization) [tʲ] (러시아어 мягкий знак 영향)
"ʷ" (순음화 표시) 자음이 입술을 동반함 (labialization) [kʷ] (라틴어 "qu" 발음)

결론

  • "̯"는 IPA에서 이중모음(diphthong) 또는 삼중모음(triphthong)에서 사용되는 디아크리틱 기호로, 해당 음소가 독립적인 음절을 형성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 특히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에서 이중모음 및 반모음 표기에 자주 사용됩니다.
  • 독일어 "hier" [hiɐ̯] 처럼, 마지막 모음이 반자음(glide)처럼 소리 나는 경우를 표현할 때 매우 유용한 기호입니다.
 

 

디아크리틱 기호 "  ̯  "의 유니코드

디아크리틱 기호 "  ̯  "(비음절적 표시 기호, non-syllabic diacritic)의 유니코드(Unicode) 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자: ̯
  • 유니코드: U+032F

 

디아크리틱 기호"  ̯  "의 국제음성기호 점자 기호

6,23456점

 

2.5. 결합형 구별 기호

 

 

관련 글

 

 

입실론 구별 - 독일어의 윕실론 vs 국제음성기호의 입실론 vs 그리스어의 입실론

입실론 구별 - 독일어의 윕실론 vs 국제음성기호의 입실론 vs  그리스어의 입실론 1. 독일어  윕실론(Ypsilon)표기: Y발음: [ʏ] 또는 [y]독일어에서 'Y'는 "윕실론"이라고 불리며, 이는 그리스어 알파

braille.tistory.com

 

 

 

[참고] 독일에서 숫자 구분 기호(소수점, 자릿점)

독일에서 숫자 구분 기호(소수점, 자릿점)유럽에서 숫자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구분하기 위한 기호: 쉼표(,)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는 숫자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 

braille.tistory.com

 

 

 

[참고&예시] SI 단위기호

[참고&예시] SI 단위기호SI 단위 기호(많은 SI 이외의 단위기호도 포함)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언어에 따라 단위 명칭은 다를지라도, 단위 기호는 국제적으로 공통이며 같은 방법으로 사용한다.

braill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