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 점자(deutschen Brailleschrift)43 디아크리틱 기호 " ̯ " 기본 개념, 기능, 사용 예시, 비슷한 IPA 기호들과의 차이점, 유니코드, 국제음성기호 점자 기호 디아크리틱 기호 " ̯ " 기본 개념, 기능, 사용 예시, 비슷한 IPA 기호들과의 차이점, 유니코드, 국제음성기호 점자 기호 디아크리틱 기호 " ̯ " 란? 📌 IPA(국제 음성 기호,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에서 사용되는 "비음절적 (non-syllabic) 표시 기호" 입니다. 이는 해당 음소가 음절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기호는 조합 문자이므로 단독으로 입력하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항상 다른 문자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독일어 hier 발음을 통해 디아크리틱 기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독일어 "hier" [hiɐ̯] 발음 설명"hier" 는 독일어로 "여기" 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hiɐ̯] 발음에서:[h.. 2025. 3. 18. 입실론 구별 - 독일어의 윕실론 vs 국제음성기호의 입실론 vs 그리스어의 입실론 입실론 구별 - 독일어의 윕실론 vs 국제음성기호의 입실론 vs 그리스어의 입실론 1. 독일어 윕실론(Ypsilon)표기: Y발음: [ʏ] 또는 [y]독일어에서 'Y'는 "윕실론"이라고 불리며, 이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Υ (Upsilon)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독일어에서는 'Y'가 '이'와 유사한 발음으로 사용됩니다. 독일어에서 'Y'는 주로 외래어나 이름에서 사용되며, '이'와 비슷한 소리를 냅니다.예시 단어:Typ (티프) → [tyːp]System (쥐스테엠) → [zʏsˈteːm]Psychologie (프쉬콜로기) → [psyçoloˈɡiː]특징:독일어에서 ‘Y’는 프랑스어 및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에서 주로 등장함.2. 국제음성기호(IPA) ʊ (입실론)기호: ʊ발음: 짧은 "우" 소리 (.. 2025. 3. 18. [참고] Taktiles Lesen (촉각으로 읽기)/중도시각장애인의 독일어 점자 학습 기간 [참고] Taktiles Lesen (촉각으로 읽기)/중도시각장애인의 독일어 점자 학습 기간Taktiles Lesen (촉각으로 읽기)Die Brailleschrift wird weltweit immer von links nach rechts gelesen, auch wenn die jeweilige Schrift des Landes von rechts nach links oder von oben nach unten geschrieben und gelesen wird. (점자는 전 세계적으로 항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습니다. 각 나라의 문자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쓰이고 읽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Braille-Leserichtung von links nach rechts (점.. 2025. 2. 2. [참고] 독일어 점자 번역기 독일어 점자 번역기Blindenschrift-Übersetzer: Text online in Braille umwandeln(점자 번역기: 텍스트를 온라인에서 점자로 변환) Der beste Weg, einen Menschen mit einer Sehbehinderung zu verstehen, ist, für einen kurzen Moment Einblick in seine Welt zu erhalten.(시각 장애인을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잠시 동안 그들의 세계를 엿보는 것입니다.)Lernen Sie deshalb die Blindenschrift Braille mit unserem Blindenschrift-Übersetzer kennen.(따라서 우리의 점자 번역기를 통해 점자를 배워보세요.. 2025. 2. 1. [참고: 마인츠 선언] Recht auf Braille (점자 사용 권리) [참고: 마인츠 선언] Recht auf Braille (점자 사용 권리) Mainzer Erklärung des Deutschen Blinden- und Sehbehindertenverbandes, der Bundesvereinigung Eltern blinder und sehbehinderter Kinder, des Deutschen Vereins der Blinden und Sehbehinderten in Studium und Beruf, der Pro Retina Deutschland und des Verbandes für Blinden- und Sehbehindertenpädagogik zum nachhaltigen Ausbau von Informationsangeboten in Blindens.. 2025. 1. 29. [독일 점자 체계] 4.1.2.2 Keine Verwechslung mit Satzzeichen (4.1.2.2 문장 부호와의 혼동 금지) 4.1.2.2 Keine Verwechslung mit Satzzeichen (4.1.2.2 문장 부호와의 혼동 금지)Die Zeichen für die Lautgruppen "al", "an", "ar", "be", "eh", "or" und "te" sind zugleich Satzzeichen. (음성군 "al", "an", "ar", "be", "eh", "or" 및 "te"에 대한 기호는 동시에 문장 부호로도 사용됩니다.) Die Kürzungen werden daher nicht angewendet, wenn Verwechslung mit einem jener Zeichen möglich ist. (따라서 이러한 기호들과 혼동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축약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Ausg.. 2024. 9. 7.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