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2.2 Keine Verwechslung mit Satzzeichen (4.1.2.2 문장 부호와의 혼동 금지)
Die Zeichen für die Lautgruppen "al", "an", "ar", "be", "eh", "or" und "te" sind zugleich Satzzeichen.
(음성군 "al", "an", "ar", "be", "eh", "or" 및 "te"에 대한 기호는 동시에 문장 부호로도 사용됩니다.)
Die Kürzungen werden daher nicht angewendet, wenn Verwechslung mit einem jener Zeichen möglich ist.
(따라서 이러한 기호들과 혼동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축약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Ausgeschrieben werden also: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축약 없이 전체를 적습니다:)
– "te" am Wortanfang,
(단어의 첫 부분에 오는 "te")
– "al", "an", "ar", "be" und "or" am Wortende und
(단어의 끝 부분에 오는 "al", "an", "ar", "be" 및 "or")
– "eh" am Wortanfang und -ende.
(단어의 첫 부분과 끝 부분에 오는 "eh")
Beispiele:
Tal ⠞⠁⠇ (계곡)
Kran ⠅⠗⠁⠝ (크레인)
Bar ⠃⠁⠗ 바
Rebe ⠗⠑⠃⠑ (포도나무)
Ehe ⠑⠓⠑ (결혼)
Reh ⠗⠑⠓ (노루)
Tor ⠞⠕⠗ (문)
Test ⠞⠑⠾ (시험)
이 규칙은 음성군 기호가 문장 부호와 혼동될 가능성이 있을 때
축약 없이 문자를 모두 적어야 함을 나타냅니다.
출처: http://www.bskdl.org/textschrift.html#schwarzdruck
BSKDL - Textschrift
www.bskdl.org
개인학습 자료라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해석이 잘못된 부분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독일어 점자(deutschen Brailleschr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 독일어 점자 번역기 (0) | 2025.02.01 |
---|---|
[참고: 마인츠 선언] Recht auf Braille (점자 사용 권리) (0) | 2025.01.29 |
[독일 점자 체계] 4.1.2 Regeln für Lautgruppenkürzungen (4.1.2 음성군 생략 규칙) (2) | 2024.09.07 |
[독일 점자 체계] 4. Die Kurzschrift (4. 단축 점자) 4.1 Lautgruppenkürzungen (4.1 음성군 생략) (0) | 2024.09.07 |
[참고] 독일에서 숫자 구분 기호(소수점, 자릿점)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