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과 측정표준 완벽 정리! 열화상 카메라, 피부 온도 변화, 연속과 불연속 차이를 쉽게 이해하고 문제 풀이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과학에서 '측정'과 '표준'이 중요한 이유
과학에서 '측정'과 '표준'이 중요한 이유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두가 똑같이 이해할 수 있는 기준(표준)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과학에서 측정과 측정표준 단원에 나오는 열화상 카메라와 피부 온도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피부 온도는 왜 연속적으로 변하는 걸까?"
"열화상 카메라는 왜 불연속처럼 보일까?"
이렇게 헷갈렸던 부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열화상 카메라 문제 소개
문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피부 온도를 측정하고,
체온이 높은 사람을 찾아내는 상황입니다.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세요.
<보기>
- ㄱ. 열화상 카메라에는 센서가 있다.
- ㄴ. 피부 온도는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 ㄷ. 체온이 높은 사람을 확인하는 것은 신호를 통해 얻은 정보이다.
선택지
- ① ㄱ
- ② ㄴ
- ③ ㄱ, ㄷ
- ④ ㄱ, ㄴ, ㄷ
- ⑤ ㄴ, ㄷ
보기 분석하기
1. 보기 ㄱ - 열화상 카메라에는 센서가 있다
✅ 맞습니다!
- 열화상 카메라는 물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장치예요.
- 이 적외선을 센서가 받아서 온도로 변환해줍니다.
- 그래서 열화상 카메라에는 반드시 센서가 있어야 해요!
👉 ㄱ은 옳은 보기입니다.
2. 보기 ㄴ - 피부 온도는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 틀렸습니다.
- 피부 온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합니다.
- 갑자기 "뚝뚝" 끊어지지 않고, 부드럽게 이어지면서 변해요.
비유로 쉽게 설명하면:
피부 온도 변화 = 강물처럼 부드럽게 흐르는 것
불연속 변화 = 계단처럼 한 칸 한 칸 끊어지는 것
👉 그래서 피부 온도는 연속적이라고 해야 맞아요.
왜 피부 온도의 변화가 '불연속'같은 느낌이 들까요?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피부 온도는 실제로는 연속적으로 변하지만, 열화상 카메라 화면에서는 색깔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 36도 = 파란색
- 37도 = 초록색
- 38도 = 노란색
이렇게 색이 단계별로 끊어져 보이죠?
화면에 색이 구간별로 바뀌기 때문에,
마치 온도가 "뚝뚝 끊어져" 변하는 것처럼 착각할 수 있는 겁니다.
핵심:
- 피부 온도 자체는 부드럽게 연속적으로 변한다.
- 색깔로 구간을 나누어 보여서 불연속처럼 보일 뿐이다.
👉 그러니까 보기 ㄴ은 틀린 설명입니다!
3. 보기 ㄷ - 체온이 높은 사람을 확인하는 것은 신호를 통해 얻은 정보이다
✅ 맞습니다!
- 열화상 카메라는 센서로 받은 온도 신호를 처리해서,
- "이 사람은 체온이 높다"는 정보를 만들어냅니다.
신호(signal) = 센서가 감지한 물리량(온도 등)
정보(information) = 신호를 해석해서 얻은 의미 있는 결과
👉 ㄷ도 옳은 보기입니다.
정리
보기 | 맞음/틀림 여부 | 이유 |
ㄱ | 맞음 | 열화상 카메라에는 센서가 있다 |
ㄴ | 틀림 | 피부 온도는 연속적으로 변한다 |
ㄷ | 맞음 | 신호를 통해 얻은 정보다 |
✅ 따라서 정답은 ③번 (ㄱ, ㄷ)입니다!
추가 개념 정리: 연속적과 불연속적 차이
항목 | 연속적(Continuous) | 불연속적(Discrete) |
의미 | 부드럽게 이어지는 값 | 딱딱 끊어지는 값 |
예시 | 온도, 시간, 길이 | 사람 수, 사탕 개수 |
피부 온도 | 연속적 | ❌ |
열화상 카메라 화면 표시 | 끊어져 보일 수 있음 | (하지만 실제 온도는 연속!) |
자주 묻는 질문
Q1. 피부 온도는 왜 연속적이라고 하나요?
A1. 온도는 부드럽게 이어지면서 변하기 때문입니다.
Q2. 열화상 카메라 화면은 왜 불연속처럼 보이나요?
A2. 색깔을 구간별로 나눠서 표시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입니다.
Q3. 신호와 정보는 뭐가 다른가요?
A3. 신호는 센서가 받은 물리적 데이터, 정보는 그 신호를 해석한 결과입니다.
Q4. 아날로그 신호는 뭔가요?
A4. 부드럽게 이어지는 연속적인 신호를 말합니다. 예: 아날로그 온도계
Q5. 열화상 카메라는 어디에 쓰이나요?
A5. 체온 측정, 기계 과열 점검, 건물 누수 탐지 등에 사용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가속도,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a = Δv / Δt, a = v2 / r 점역 예시)
가속도,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a = Δv / Δt, a = v2 / r 점역 예시)) 가속도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물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가속도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
braille.tistory.com
원의 둘레와 지름, 초등학생도 이해하기 쉽게!(+수식 점역)
원의 둘레와 지름, 초등학생도 이해하기 쉽게!(+수식 점역) 원의 둘레가 1km라면, 지름은 얼마나 될까?원의 둘레와 지름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둘레"는 원의 테두리를 따라 한 바퀴 싹~ 돌아간
braille.tistory.com
안내견은 단지 시각장애인의 ‘눈’이 아니다 – 사람과 개, 감정의 유대를 말하다
안내견은 단지 시각장애인의 보조 역할의 기능만 할까요? 사람과 개가 나누는 깊은 유대와, 시각장애인 삶의 진짜 변화 이야기를 확인해보세요. 1. 서론 – 안내견을 바라보는 익숙한 오해우
braille.tistory.com
창비 고등학교 국어 정답 및 정오표 pdf 답지 무료 다운로드
창비 고등학교 국어 정답 및 정오표 pdf 답지 무료 다운로드 링크 모음 각 링크를 클릭하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 없이답 pdf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웹페이
braille.tistory.com
[참고] 일상생활 속 측정 표준의 활용 사례
[참고] 일상생활 속 측정 표준의 활용 사례 측정 표준이란?측정 표준은 우리가 일상에서 정확하고 일관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준으로,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사람이나 기관이 동일
braille.tistory.com
보지 않고도 '빛'을 이해할 수 있을까? 시각장애학생이 보여준 과학 개념의 깊이
시각장애학생은 어떻게 빛을 배울까요? 대구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시각장애학생들은 일부 개념에서 정안학생보다 더 과학적인 이해를 보이기도 합니다. 빛의 본성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braill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