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에 비춰진 셀프리더십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 3인의 삶을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실질적인 셀프리더십 전략과 생활 수행 능력을 정리하였습니다.
개요
본 글은 박자양 연구자의 박사학위 논문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에 비춰진 셀프리더십 내러티브 탐구」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연구는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 세 명의 생애를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고, 이들의 삶에서 어떻게 셀프리더십이 드러나는지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참여자 및 방법
- 연구 참여자: 전맹 시각장애를 지닌 여성 3인 (가명: 박한희, 이유진, 김소민)
- 장애 특성: 빛조차 인지할 수 없는 완전 실명 상태
- 연구 방식: 내러티브 탐구 (시간성, 사회성, 장소성 기준의 3차원 틀 적용)
- 자료 수집: 대면 인터뷰, 문자, 전화, 영상, 참여자 작성 자료 등
사례별 분석
1. 박한희: 공동체 안에서 자율성을 실현하다
- 중도 실명 이후, 특수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함
- 복지관에서 보이스웨어, 워드, 점자 기술을 습득하고 이후 시각장애 부모 모임의 간사 및 대표로 활동
- 타 시각장애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 정보, 행정 제도, 권리 옹호에 관한 정보 제공
요약: 박한희는 셀프리더십을 단순한 자기 통제가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의 역할 수행과 정보 중재자로 실천하고 있었습니다.
2. 이유진: 자립을 선택한 양육자
- 선천적 전맹 상태에서 두 자녀를 양육
-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을 반납하고, 소득 창출 활동을 선택
- 점자 학습, 디지털 기술 숙련, AI 음성 기반 독서도구 활용
-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촉각, 음성, 루틴화된 일상 패턴을 사용함
요약: 이유진은 자신의 모성권을 타인의 시선이 아닌 자기 기준에 따라 구성하였으며,
이를 위해 정책 수혜보다 의미 있는 자기 효능감 경험을 우선시하였습니다.
3. 김소민: 감각 대체를 통한 정서적 양육 실천
- 선천적 전맹
- 자녀의 감정 변화를 목소리 크기, 말의 속도, 호흡의 길이, 손끝의 반응 등을 통해 파악
- 요리·청소·양육에서 공간 구조화, 시간 루틴 고정화 등의 전략 사용
- 자녀의 얼굴이나 표정을 볼 수 없으나, 신체 접촉 기반 상호작용으로 양육 수행
요약: 김소민은 시각 외 감각 자원을 체계화하여 ‘양육 역량’을 정서 중심으로 실현하고 있었습니다.
공통적으로 드러난 셀프리더십 전략
항목 | 적용 사례 |
자기 목표 설정 | 자녀 양육, 경제적 자립, 정보 중개 등 구체적 목적 보유 |
자기 관찰 | 생활 루틴, 아동 반응, 실천 실패 요인에 대한 반복 점검 |
자기 보상 | 성취 후 자가 인정, 자녀 반응을 긍정 피드백으로 내면화 |
자기 통제 | 실수나 좌절에 대한 감정 억제와 대안적 계획 수립 |
자기 대화 | “할 수 있다”, “이 정도면 괜찮다” 등 자기 암시 활용 |
시각화 | 자녀의 미래 성장 모습이나 자립된 삶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 구성 |
분석: 기존 관점과의 차이
기존 시선 |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 |
장애인 부모는 양육 역량이 낮다 | 3인의 사례 모두 효과적 상호작용 실현 가능성 확인됨 |
복지 없이 생존은 어렵다 | 이유진 사례: 정책 탈피 후 자립 가능 |
장애는 극복 대상이다 | 셀프리더십은 ‘장애를 끌어안고 기능하는’ 전략 중심임 |
리더십은 조직 내 개념이다 | 본 연구는 ‘생활 수행력’도 리더십으로 확장 가능함을 보여줌 |
결론
본 논문은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을 통해 일상적 삶의 전략 안에서 리더십 개념이 실현될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장애와 모성, 자립과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교육자, 연구자, 정책 설계자에게 의미 있는 사례 기반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겠습니다.
논문 바로 보기: https://www.dbpia.co.kr/journal/detail?nodeId=T16907311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장애는 끝이 아닌 시작이었다: 중도 시각장애 유튜버들이 말하는 '수용'의 여정
중도 시각장애 유튜버들의 삶을 통해 본 '장애 수용'의 진짜 이야기. 실명이라는 충격에서 수용과 성장, 사회적 메시지까지. 이들의 유튜브 영상 속 고백을 통해 장애란 무엇인
braille.tistory.com